전체 글25 4. 펌프와 전기와 워런티 ......ㅋㅋㅋㅋ 나름 고딩때 전기과 출신이라... 전기에 막연함은 없었다.실제 작업할때도 그랬고............. 우선 이야기를 하자면,내가 구매한 수족관용 펌프는 220v ac, 60Hz.보통 수냉에서 사용하는 전용 펌프는 dc...? 여기서 문제는 전혀 다른곳에서 나온다. .....응? 보통 PC 파워에서 사용되는 전압등이 나오는 결선도랄까....중요한점은 여기있다.산업용 DC릴레이를 이용해서 24v가 릴레이에 입력되면, 이를 전원으로 사용하여 접점을 개폐하여 AC를 통과하려 하였던 나의 계획은.......... PC에는 24V가 없어!? ........ㅎㅎ12볼트까지는 지원해도 24볼트는 없다.3.3v라던가 5v라던가 여러가지 짬뽕 시켜도 24볼트로 점프되는건 없고... 그렇다고 전압 점프.. 2015. 1. 14. 3. 점차 다가오는 수냉 먼저 전원부 블럭을 공개하였으나 그와 비슷한 시기에 CPU자켓의 완성이 됨. 먼저 완성된 자켓 영혼까지 끌어모아.jpg 먼저 위부터 현 시스템에서 사용하게 될 FX8350 CPU와, 기존 시스템이자 세컨컴 패넘2 955 CPU.원래 계획은 955의 클립을 자켓에 사용하는것이었으나, 세컨컴이 불쑥 만들어지게 되어 클립을 빼앗김...사진상 보이는 왼편의 클립은 주인찾아 돌아감 ㅠㅠ 하여, 8350 클립을 사용하면 똑같겠지 했는데, 다름.... 뭔가 V자 처럼 변해버린 클립은 자켓을 수정케 하였으나, 귀차니즘으로 현재는 그러기나 말기나 걍 장착됨.(장착은 되는데 잠금이 안된다...?) 아, 저 위에 반짝거리는 은색 피팅은 사실 좋아보이지만, 결합이 힘든건 둘째 치고 누수가 생김....일반 공압 피팅과는 좀 다.. 2015. 1. 14. 2. 급 우회, 전원부 자켓 구상기 뭐라?전원부가 뜨거워????????사실 수냉 한다고 100GHz까지 오버할것도 아니고 그닥 중요한건 아니긴 하지만...CPU 자켓을 만들면서도 계속 머릿속에 맴돌던게 있었다. 그것은... 전원부 아....그렇다...공냉식일땐 CPU 쿨러에서 나오는 바람 & 케이스 내부의 대류(?)가나름 의도케 전원부 방열판을 살짝살짝 휩쓸고 지나가긴 한다.때문에 공냉일 경우에 전원부에 특별한 쿨링은 중요치 않다고 여기는 성향이 짙다. 그러나 문제는, 수냉으로 바꾸면서 최종적으로는 그래픽카드까지 수냉으로 바꿀 계획중이기에,나의 데스크탑은 쿨러가 라디에이터에 달린 4개 이외에는 없어지지 않을까 싶다. 는건 희망사항이고, 전원부가 문제다.CPU 쿨링을 수냉으로 바꿀경우 CPU에 쿨러가 없어지게 된다.그 말인즉슨, 메인보드 전.. 2015. 1. 14.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